


第62輯
발행 : 2018. 11
-
최범순 ㆍ고바야시 마사루 「포드 1927」의 시공간 구조와 역사적 상상력
-
변정아 ㆍ김달수의 「후예의 거리」 연구‒도쿄의 모조도시인 경성에서 부유하는 지식인들‒
-
임만호 ㆍ미나토 가나에의 고백에 나타난 일본사회의 범죄화‒모리구치의 복수를 둘러싼 집단 광기(狂気)를 중심으로‒
-
김대양 ㆍ나쓰메 소세키의 ‘탐정’인식‒소설 작품과 강연을 중심으로‒
-
신윤주 ㆍ여성의 시선을 통한 「딸」의 의미‒히구치 이치요의 십삼야(十三夜)와 하야시 후미코의 방랑기(放浪記)를 중심으로‒
-
강정심・김난희 ㆍ도손의 버찌가 익을 무렵고찰‒사실의 변용과 프루스트적 글쓰기‒
-
矢野尊義 ㆍ漱石と透谷の文学における愛のモチ-フ
-
李京哲 ㆍ韓國漢字音의 一音節化 경향에 대하여 ‒1・2等韻을 중심으로‒
-
福重一成 ㆍ活発な異文化交流を目指した「カタカナ中国語シート」の効果に関する考察‒JSL児童のクラスを中心に‒
-
金秀榮 ㆍ日韓両言語の補助動詞「てみせる」と「아・어 보이다」の対照研究‒構文的な特徴を中心に‒
-
趙南星・舩橋瑞貴 ㆍ日本語の教科書の「ストレートな表現」
-
배진영 ㆍBJT비즈니스일본어능력테스트의 내용에 대한 고찰
-
秋葉多佳子・金廷珉 ㆍ4モーラ短縮形に関する形態論的研究‒ドラマのタイトルを中心に‒
-
房極哲 ㆍ日本における大学教養教育に関する基礎的研究‒M大学の教養教育を中心に‒
-
李宜貞 ㆍ特殊学校におけるキャリア教育の日韓比較
-
박상현 ㆍ번역자의 관점과 윤리‒김윤식・오인석 공역 국화와 칼(제3판)을 중심으로‒
-
김정미 ㆍ일본화투(花札)도안과 사계
-
손현석 ㆍ일본 잔혹영화의 정신적 배경 고찰
-
노윤선 ㆍ요코 이야기(竹林はるか遠く) 고찰‒일본인관과 조선인관을 중심으로‒
-
하 훈 ㆍ일제강점기 통영에서의 일본인 나전칠기 산업의 침투
-
정영미・이경규ㆍ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다룬 재일한인분야 연구동향 분석
-
金蘭正・朴商薰 ㆍ韓日観光交流の活性化方案に関する一考察2‒韓国人若者の日本に対するイメージ分析を中心に‒

第61輯
발행 : 2018. 08
-
黒柳子生・劉錫勳 ㆍ接続連鎖現象の日韓比較に関する一考察
-
李忠奎 ㆍ「捨てる」と「버리다」との対照研究
-
宋恵仙 ㆍ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の構造とボイス性
-
趙恩英 ㆍ釜山広域市の観光地における言語景観について ‒釜山シティーツアーのコースにある公園を中心に‒
-
박신향 ㆍ대학 교양 외국어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‒영어・중국어・일본어 과목 수강자를 대상으로‒
-
이예안 ㆍ미야자와 겐지 은하철도의 밤의 일한번역에 대한 고찰 ‒식물명과 물건명을 중심으로‒
-
金煕照 ㆍ首が落ちた話論‒「あてにならない」人間について‒
-
이상복 ㆍ전향시대 노동운동가 부부의 표상‒「그 사람과 아내(その人と妻)」를 중심으로‒
-
감영희 ㆍ아키(秋) 小考‒침묵의 공간을 통해 본 노부코(信子)의 내적변화‒
-
최은경 ㆍ전후일본문학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‘섬’‒야쿠시마(屋久島)를 중심으로‒
-
조미경 ㆍ근대 이후 일본 동북지역 대지진과 일본근대문학의 역할‒소설 산리쿠쓰나미(三陸津波)와 르포르타주 산리쿠해안 거대쓰나미(三陸海岸大津波)를 중심으로‒
-
소명선 ㆍ재일조선인 에스닉잡지와 ‘한국전쟁’‒1950년대의 일본열도가 본 ‘한국전쟁’‒
-
松崎美恵子 ㆍ大江健三郎「核時代の森の隠遁者」論 ‒「贖罪羊」と「自由」を通してみる沖縄の姿を中心に‒
-
박현지・박영배 ㆍHEXACO 성격유형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‒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비교연구‒
-
櫻木晃裕 ㆍ組織ストレスに対応するコーピング・マネジメントの構築‒ケース・メソッドによる学習の有効性‒
-
안태혁・박봉규・정영미 ㆍ기업의 사회적 책임(CSR)이 기업이미지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‒한일 비교를 중심으로‒
-
류성경・김재현 ㆍ일본의 기업연금제도에 관한 연구
-
楊光洙・金道壎 ㆍ東アジア地域におけるTPP11協定の意義と日本・中国のFTA戦略
-
鄭守源 ㆍコンビニ利用客の行動に関する日・韓比較研究

第59輯
발행 : 2018. 02
● 羅工洙ㆍ近世・近代における中国語の接尾辞「∼家」の受容と意味用法
● 신민철ㆍ韓國語와 日本語의 一字 漢字語에 관한 考察
● 李忠奎ㆍ「~어 죽겠다」に関する一考察 ‒日本語との対応関係を中心に‒
● 신은혜ㆍ「さて」와 「ところで」의 의미적 기능 차이에 대하여 ‒BCCWJ와 CSJ에 의한 분석 예‒
● 박성희ㆍ「現存」 보다 강한 「不在」 ‒松本淸張의 「어느 고쿠라 일기전」을 중심으로‒
● 최연주ㆍ일본의 부산 북빈매축과 비석마을
● 藤野真挙ㆍ井上毅と教育勅語 ‒文明の「親愛」ユートピアへ‒
● 박해선ㆍ식민지 조선과 정감록
● 최장근ㆍ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모순성 연구
‒‘죽도문제연구회, 함평중학교 독도동아리, 2찬네루’를 중심으로‒
● 박성하ㆍ일본과 독일의 탈원전 정책 비교 ‒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를 중심으로‒
● 정영미・이경규ㆍ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한 재일한인분야 지식구조 분석
● 정기룡・원지연ㆍ일본의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고찰 ‒개호보험 도입배경을 중심으로‒
● 강태중ㆍ한국 대학생의 자민족중심주의와 사회적 거리감이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
● 韓基早ㆍ中日鉄鋼産業における質的貿易競争力の分析
● 田坂公・小酒井正和ㆍマレーシア進出日本企業における原価企画の現地化の課題
‒現地化コンテクストの比較分析‒
● 이홍배ㆍ한국 중간재산업의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분업구조 변화 분석
● 陸根孝ㆍ組織文化と持続可能統制システムがイノベーション能力と成果に及ぼす影響
● 竹内裕二ㆍ地域をメンテナンスする考え方を用いた「まちづくり」のあり方についての考察
● 이영희ㆍ使役句硏究小考 ‒英・中・韓・日 心理動詞 對照를 中心으로‒
● 羅希ㆍ相づちの「促し」効果の消失について
‒現代日本語の「うん」「はい」と現代中国語の天津方言の「ng」「a」の比較から‒
● 金慶湖ㆍ椎名麟三懲役人の告発論 ‒「死んだように生きる」ことをめぐって‒
● 이영화ㆍ구리하라 사다코(栗原貞子) 원폭문학의 현대적 의의
● 고레나가 슌ㆍ마오둔(茅盾)문학의 환상과 현실 ‒30년대 초기의 작품과 부식(腐蝕)의 문체와 구조‒
● 신윤주ㆍ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의 작품을 통해서 본 병(病)에 대한 수용자세
● 富山仁貴ㆍ戦後日本における上原専禄の教育論(2) ‒国民教育論と地域論の展開‒
● 이초희ㆍ전후 중국잔류일본인의 귀환에 관한 연구 ‒기민정책을 중심으로‒
● 이준영ㆍ1910~20년대 조선인의 가라후토 이주와 인식
● 조남성ㆍ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한자어 친밀도에 관한 고찰
● 福重一成ㆍ日本語学習者の母語を取り入れた落語の活動報告
‒「中国語落語の会」でみんな笑っチャイナ‒
● 金志宣ㆍ協働活動に対する学習者の認識調査 ‒日本語教育の授業実践を通して‒
● 元智恩ㆍ日韓のテレビ・ドラマに用いられたポジティブ・ポライトネス
● 김순희ㆍ일본 근대의 ‘중간소설’ 연구 ‒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작품을 중심으로‒
● 早澤正人ㆍ芥川龍之介「玄鶴山房」論 ‒<離れ>という空間(トポス)‒
●조성미ㆍ도시괴담 소설의 배경과 변용‒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「요파」와「아그니 신」을 중심으로‒
● 박상현・미네자키 토모코ㆍ후지와라 데이 연구의 문제점 ‒서지학적 측면에서‒
● 임상민ㆍ동북아 해역의 서적 유통 연구 ‒1920년대 부산 지역신문과 서적 광고를 중심으로‒
● 이행화・이경규ㆍ미군정기 재일조선인 발행 신문의 사설 고찰
‒民主新聞・朝連中央時報・文敎新聞을 중심으로‒
● 이수익ㆍ日本人 拉致 事件에 관한 연구 ‒가족회 결성을 중심으로‒
● 노윤선ㆍ일본지진을 통해 바라본 혐한(Anti-Korea(n) Sentiment)과 혐오 발언(Hate Speech)에 대한 고찰 ‒관동대지진과 동일본대지진을 중심으로‒
● 이진아・안병곤ㆍ한일 양국 여학생들의 학교폭력 유형에 관한 연구 ‒기사의 내용분석에서‒
● 岡本かおりㆍ日本における認知症ケアの問題と「徘徊」の隠喩的分析
● 이윤호ㆍ한국 생명보험시장의 형성과 전개 ‒사회문화적 관점‒
● 李会爽ㆍBSCによるインタンジブルズ研究の現状とその方向性 ‒戦略マップを用いた事例研究‒