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

第51輯
발행 : 2016. 02
-
羅工洙 ㆍ近世ㆍ近代に於ける「所天ㆍ良人」について
-
白惠英ㆍ李京哲 ㆍ漢和辭典 尤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
-
金直洙 ㆍ韓ㆍ日ことわざ語彙の比較研究‒動物名を含んでいることわざを中心に‒
-
裵晋影 ㆍ韓日両言語の大衆歌謡における外来語の使用傾向
-
金妵衍 ㆍ문말조사 ‘ね’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관한 고찰
-
강소정 ㆍ일본어 어휘교육에 있어서의 오노마토페 교육
-
이선희 ㆍ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‘기초일본어1’ 수업
-
조남성 ㆍ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복합동사 친밀도에 관한 고찰
-
矢野尊義 ㆍ太宰文学からみた性的虐待と心傷
-
김용의 ㆍ일본 공휴일 제도의 역사적 성립과 사회문화적 함의
-
이행화ㆍ이경규 ㆍ일제강점기의 조선 신여성 인식에 관한 일고찰 ‒여성잡지 [新女性]을 중심으로‒
-
이토 히로코ㆍ박신규 ㆍ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
‒‒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‒
-
김동윤ㆍ이현주ㆍ정연주 ㆍ한일 언론의 상대국 국가정상에 대한 보도양상과 이미지 프레임 연구
‒언론 미디어의 국적과 이념적 지향성을 중심으로‒
-
강영걸 ㆍ일본경영시스템에 대한 서구 문화주의 관점 연구
-
박영배 ㆍ금융위기하의 원/달러 및 엔/달러 환율의 의존성에 대한 연구
-
金道壎 ㆍ東アジア地域における中韓FTA締結と日本FTA政策への影響
-
李美永 ㆍ韓日自動車部品産業の物流システム連携方案‒東南圏と北九州圏を中心として‒


발행 : 2015. 11
第50輯
【특집논문 : 전후 70주년, 한일수교 50주년】
-
마키노 에이지 ㆍ「헐벗은 삶」과 정치의 붕괴‒잃어버린 전후 70년, 그리고 50년‒
-
박균섭 ㆍ한국에서 본 전후일본교육의 궤적‒교육칙어와 교육기본법의 연속과 불연속‒
-
고길희 ㆍ글로벌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일관계
-
남영주 ㆍ오카마사하루기념 나가사키평화자료관의 전쟁기억과 <동아시아사> 교육
-
최장근 ㆍ한일 양국 간의 영토문제에 대한 상호인식‒독도문제 해결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‒
-
다와라기 하루미 ㆍ일본 신문에 나타난 「혐한」언설의 의미 고찰
‒1992년부터 2015년까지의 아사히신문(朝日新聞)과 산케이신문(産経新聞)을 중심으로-
-
오명원 ㆍ한일 언론과 일본군위안부김동윤ㆍ‒보도양상 및 미디어 프레임 분석‒
【일반논문】
-
金慶恵 ㆍ日本語と韓国語の副詞の対照研究‒‘全然(zenzen)’と‘전혀(cheonhyeo)’を中心に‒
-
김성연 ㆍ<소년세계>에 의해 만들어진 조선상‒발행 초창기(1895년-1897년)를 중심으로‒
-
이상복 ㆍ하야시 후미코의 <소용돌이치는 바닷물>론‒인습을 극복한 전쟁미망인과 복원병‒
-
신윤주 ㆍ한・일 근현대문학에 나타난 생활사적 의미에서 「전당포(典當舖)」가 미친 영향
-
감영희 ㆍ아쿠타가와의 젠더의식
‒데고메(手込め)소설로서의 <야부노나카(藪の中)>를 중심으로‒
-
소명선 ㆍ사키야마 다미의 「풍수담」론‒사키야마의 언어의식과 문학적 전략에 관해‒
-
井上幸子 ㆍ戦後日本と小林勝‒「フォード・一九二七年」の場所の構成と戦争認識‒
-
최은경 ㆍ근대일본 소녀소설 연구‒<꽃 이야기(花物語)>의 에스 관계를 중심으로‒
-
吉美顕 ㆍ韓・日文学における女性像の形象化‒谷崎潤一郎と金東仁を中心に‒
-
박성희 ㆍ허배관 ㆍ욕망과 금기의 균열
‒사쿠라바 가즈키의 <내 남자(私の男)>와 박범신의 <은교(Eengyo)>를 중심으로‒
-
최연주 ㆍ韓・中・日의 <正法華經>과 <校正別錄>
-
송휘영 ㆍ일본 고문서에 나타난 일본의 독도 인식
-
曺圭憲ㆍ李市埈 ㆍ日本の年中行事における「負の霊的存在」の概念についての一考察‒境界との関わりを中心に‒
-
김보림 ㆍ일본의 식민지 대만 역사교육 정책 연구
-
박희영 ㆍ일본문화 속의 요괴의 다양성과 이미지의 함의 연구
50
bottom of page